귀하가 Tor 중계기를 운영하면서 (기본 출구 정책 대로) 출구 접속을 허용한다면, 싫은 소리를 꼭 한번 즈음은 들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남용 문제에 대한 항의가 다양한 형태로 올 수 있어요. 예를 들어:

  • 누군가가 Hotmail에 접속해 랜섬 메일을 회사에 전송했어요. FBI가 귀하께 공문(polite mail)을 보낼 거예요. Tor 중계기를 운영했다고 해명하면, FBI 당국은 "아 그렇군요" 하면서 갈 겁니다. [포트 80]
  • 누군가가 Tor를 사용해 Google 그룹에 접속하고, Usernet에 스팸 메일을 보낸 후, 귀하측 현지 ISP에 이렇게 깽판을 치고 있다고 항의 메일을 보내서 중계기를 정지시키려 해요. [포트 80]
  • 누군가가 IRC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민폐를 저지릅니다. 현지 ISP에서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도덕적으로 불미스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는 공문을 받을 겁니다. (DDoS 공격을 해당 컴퓨터에서 받고 있다는 내용도 추가될 수 있어요.) [포트 6667
  • Somebody uses Tor to download a Vin Diesel의 영화를 Tor를 통해 다운로드 받았어요. 이로인해 현지 ISP에서 DMCA takedown 통지를 받았어요. EFF에서 제작한Tor DMCA Response Template에서 왜 해당 사안의 책임 소재에 ISP가 끼지 않고, 이들이 해당 통지를 무시할 수 있는지 설명돼있어요. [임의의 포트(arbitrary port)]

몇몇 호스팅 서비스는 다른 서비스 대비 Tor 출구 중계기에 관대한 편이에요. good and bad ISPs wiki 문서에 제시된 목록을 확인해 보세요.

'남용 문제'에 대한 여러 유형의 항의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collection of templates 문서에 템플릿을 올려두었어요. 성가신 문제에 최대한 얽히지 않으면서 출구 노드를 운영하는 방법'완화된 출구 정책'(Reduced Exit Policy) 운영하기에 제시된 사항을 숙지하고 이를 준수한다면, 남용 문제에 얽히는 일을 선제적으로 줄일 수 있어요.

귀하가 운영하는 Tor 중계기의 IP가 접속하려는 인터넷 사이트나 인터넷 서비스에서 차단된 걸 발견하실 수도 있어요. 이는 출구 정책의 적용 유무를 가리지 않고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에요. 해당 인터넷 서비스나 사이트에선 Tor에 출구 정책이 있는지 모르고, 상관하지도 않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에요. (다른 활동에 사용하지 않은 여분의 IP가 있을 경우, 해당 IP로 중계기를 운영해 보는 것으로 갈음할 수도 있어요.) 정리하자면, 가정 내 인터넷 환경을 Tor 중계기 돌리는 데 쓰지 않는 게 바람직해요.